성영이를 위해 기도해주세요.

성영이를 위해 기도해주세요.

🌿 성영이를 위해, 생명을 잇는 기도와 손길을 모읍니다

공인식 목사님의 아들, 공성영 형제(37).
가난한 목회자의 아들로 자라며도 믿음 하나로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화학 박사를 마치고, 내년부터 미국 명문 **유펜(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연구를 이어갈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행복의 문턱에서, 그는 갑작스러운 뇌종양 판정을 받았습니다.

서울대병원에서 9시간에 걸친 대수술을 마쳤습니다.
의식이 돌아왔고, 희미하게 말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뇌경색의 위험, 시야 손상, 암 조직검사 결과,
그리고 남은 5%의 종양이라는 긴 싸움이 남아 있습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의 생명의 등불을 다시 타오르게 하시도록 뜨거운 기도와 사랑의 동행을 모으는 일입니다.

🙏 함께 기도해주세요

  • 뇌경색이 더 진행되지 않고 새로운 혈관이 생겨 기능을 대신하도록
  • 남은 종양이 완전히 제거되고, 암세포가 번지지 않도록
  • 정신적·육체적으로 온전히 회복되어 다시 연구의 자리로 돌아가도록

💝 그리고, 가능하시다면 치료와 회복을 위한 후원으로 함께해주세요.
오랜 병상 치료와 재활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당신의 작은 손길이, 한 생명을 살리는 기적이 될 수 있습니다.

📩 후원 안내

아래 링크를 통해 사랑을 나눠주실 수 있습니다.

멀시핸즈 후원안내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합니다, 멀시핸즈

성영이를 위해 기도해주세요.


주님은 우리의 작은 사랑으로 큰 기적을 이루십니다.
이 절망의 밤이 지나고, 성영이가 다시 빛을 연구하고 세상을 밝히는 자리로 돌아가도록 함께 기도하고 손을 모아주세요.

#성영이를위해 #기도해주세요 #생명의기적 #믿음의동역 #사랑의나눔 #큰사랑교회

Read more

멀시핸즈 레터 🩷 "그럼에도 감사하자" (2025. 11. 03)

멀시핸즈 레터 🩷 "그럼에도 감사하자" (2025. 11. 03)

"그럼에도 감사하자" (2025. 11. 03) [골로새서 3:17]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그를 힘입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 [데살로니가전서 5:18]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소크라테스(Σωκράτης - Socrates)는 총각 시절에 여러 명의 친구와 비좁은 방에 같이

종교개혁 508주년 함께 바른 교회 되기 ACT NOW 광주대회

종교개혁 508주년 함께 바른 교회 되기 ACT NOW 광주대회

바르다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았습니다. 1. 겉으로 보기에 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다. 2. 말이나 행동 따위가 사회적인 규범이나 사리에 어긋나지 아니하고 들어맞다. 참 반듯한 말입니다. 그리고 슬픈 말이기도 합니다. 당연한 것이 당연하지 않게된 시대가 되어버렸기 때문입니다. 국가, 사회 그리고 교회마저도 비뚤어졌고, 굽었기 때문입니다. 목회자의 길을 걸어온 것이 37년입니다. 제가 평생을 걸어오며

인도차이나 한인선교사 태국대회 '미션숏챌 챌린지' 태국에서 시작된 새로운 선교의 언어

인도차이나 한인선교사 태국대회 '미션숏챌 챌린지' 태국에서 시작된 새로운 선교의 언어

‘미션숏챌(Mission ShortChall)’ — 태국에서 시작된 새로운 선교의 언어 인도차이나 한인선교사 태국대회, 5개국 700여 명 참여 속 성황리 마무리 태국 방콕에서 열린 '인도차이나 한인선교사 태국대회'가 5개국 700여 명의 선교사와 현지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는 선교와 미디어를 결합한 새로운 형식의 ‘미션숏챌(Mission ShortChall)’이 첫선을

멀시핸즈 레터 🩷 "나는 주님께 빚진 자다." (2025. 10. 30)

멀시핸즈 레터 🩷 "나는 주님께 빚진 자다." (2025. 10. 30)

[로마서 13:8] 피차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에게든지 아무 빚도 지지 말라 남을 사랑하는 자는 율법을 다 이루었느니라 젊은 발명가가 있었다. 그는 스스로 모든 것을 이뤘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름을 딴 회사가 생겼고, 사람들은 그를 “21세기의 천재”라 부르며 박수쳤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는 마음이 허전했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성공을 확인했지만, 밤마다